[스크랩] 집단으로 춤추다 떼죽음한 댄스 히스테리 (그림설명: 중세시대 마귀와 춤을 추는 마녀) 히스테리로 불리는 집단 발작 현상은 오랜 옛날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세계 곳곳에서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학교 교실 안에 출현한 귀신을 목격하거나 UFO 혹은 외계인들과 조우한 사람들이 비명을 지르고 집단적으로 기절하는 해프닝이 여.. 고고학 2010.04.09
[스크랩] 절망과 공포의 인류 미래 2008년 12월 25일, 2009년 1월 1일 연말행사 2009년 중국 화성에 화성 탐사선 발사. 2013년 2월 24일 정권 교체.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2015년 중국, 독자 우주 정거장 착수 2017년 한국, 지구 이외의 본격 행성,위성 탐사 프로젝트 시작 2020년 중국 달기지 건설 계획중. 2025년 일본, 달기지 건설 계획 2025년 러시아,.. 고고학 2009.05.18
[스크랩] 마야 문명과 지구 멸망의 연관성 마야문명 역사 마야 문명(Maya文明)은 중앙아메리카의 멕시코 남동부, 과테말라, 유카탄 반도 지역을 중심으로 번영하였던 문명이다. 케추아족이 세운 고대 문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2천년 전 부터 생겼을 것이라 추측된다. 300년 - 900년까지가 문명의 황금기였으나, 10세기에 이민족의 침략으로 인해 멸.. 고고학 2009.05.18
[스크랩] 고대 인도의 핵전쟁 흔적들 지상에 떨어진 태양, 만개한 장미꽃잎과 같은 태양의 불꽃은 지상을 휩쓸었고, 먼지구름은 수직으로 하늘로 솟구쳤다. 거대한 죽음의 전달자는 모든 종족을 말살하려는 신의 의지처럼 보였다. 불이 휩쓸고 간 뒤의 모든 것은 오염되어 먹을 것도 마실 것도 없는 지옥이 펼쳐졌다. 마치 인류가 만들어.. 고고학 2009.05.18
[스크랩] 고대문명의 창조신은 은하계의 생명체? 미국의 과학 저술가 로버트 템플은 1997년 그의 저서 <시리우스 미스터리>에서 아프리카 말리국의 도곤족들이 전하는 그들 선조들의 물고기 하반신을 가진 반신반어 모습의 외래 생물체의 접촉 기록들을 광범위하고 상세하게 기술했다. 그는 지구의 고대 문명들의 기원과 창조에 관한 신화와 전설.. 고고학 2009.05.03
[스크랩] [미스테리] 고대 수메르인의 창조자가 살고 있는 행성 고고학자 제차리아 싯친 박사 영화 인디아나 존스의 실제 모델이라는 영국의 고고학자 싯친박사는 1976년 약 15년간 전세계를 돌아다니며 탐독하였던 많은 종류의 고대 문장들을 풀이한 저서 '12번째 행성"을 발간하여 세계인들을 깜짝 놀라게 하였다. "12번째 행성" 이라는 책에서 제시한 싯친박사의 이.. 고고학 2009.04.01
[스크랩] [미스테리] 고고학계에서 공개하지 않은 사진들 고고학계에서 공개하지 않은 사진들 아래 사진들은 고고학계에서 감히 공개하지 못하는 사진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그 진위를 가리기가 넘 힘든 것 같구요, 그저 심심풀이로 함 봅시다. 고고학 2009.04.01
[스크랩] 초고대인의 무중력 기술? 레바논 바알백에 있는 쥬피터 신전에는 무게가 1,000톤이 넘는 기초석 3개와 그 근처에 비스듬히 누워있는 '임산부의 돌'이라고 불리우는 1,200톤이 넘는 거대한 직사각형 조형물이 있다. 또한 이집트의 기자에 있는 거대한 피라미드들과 아스완의 1,168톤이 넘는 미완성 오벨리스크 등 세계 도처에 위치.. 고고학 2009.04.01
[스크랩] 티베트의 100여 개 피라미드群 2000년 3월 15일 미국의 케이블TV '역사채널(History Channel)'은 중국 내륙 고원에 존재한다는 피라미드 무리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1시간에 걸쳐 방영했다. 이 피라미드가 처음 알려진 것은 1912년. 티베트를 교역차 방문했던 호주인 2명이 한 불교 수도승에게 피라미드 이야기를 듣고 그의 안내로 현장을 답사.. 고고학 2009.03.19
[스크랩] 금지된 고고학 - 30억년된 합금 회전체 최근 해외토픽에는 미 우주항공국의 카시니 우주탐사선이 촬영한 토성의 위성 미마스가 영화 [스타워즈]의 데스 스타와 모습이 똑같다는 뉴스가 보도되어 화제가 됐다. 1980년과 81년에 보이저 우주선이 토성을 지나치며 전송한 사진은 화상이 선명하지 않았으나 지난 1월 16일 213,000 km 떨어진 거리에서.. 고고학 2009.03.19